본문 바로가기
Material Requisition/Piping

플래시 탱크(Flash Tank)란?

by ALL ABOUT PIPING 2025. 4. 3.
반응형

플래시 탱크(Flash Tank)는 고온, 고압의 유체를 낮은 압력 상태로 방출하면서 순간적으로 증기를 분리하는 장치입니다. 주로 산업용 보일러 시스템, 스팀 네트워크, 화학 공정 및 발전소에서 사용되며, 고온의 액체가 압력 강하를 겪으면서 일부가 증기로 변하는 "플래싱(Flashing)" 현상을 활용합니다.

이 장비는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과도한 압력을 방지하며, 시스템의 안전성을 높이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 플래시 탱크의 작동 원리

플래시 탱크의 기본적인 작동 원리는 고압의 유체를 낮은 압력 환경에 방출할 때 발생하는 플래싱 현상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1. 고온·고압의 유체 유입: 보일러 시스템 또는 공정에서 사용된 응축수가 플래시 탱크로 유입됩니다.
  2. 압력 강하: 플래시 탱크 내부에서 압력이 낮아지면서, 일부 액체가 순간적으로 증기로 변합니다.
  3. 증기와 액체 분리: 생성된 증기는 상부를 통해 방출되고, 남은 액체(저압 응축수)는 하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됩니다.
  4. 증기 재활용: 방출된 플래시 증기는 보일러에서 재사용하거나 난방 시스템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2. 플래시 탱크의 주요 기능

  1. 에너지 회수: 플래시 증기를 다시 사용하여 보일러의 연료 소비 절감
  2. 압력 조절: 배관 시스템 내 과도한 압력 방지
  3. 안전성 확보: 고압 증기 배출을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사고 예방
  4. 배관 보호: 급격한 압력 변화로 인한 배관 손상 방지

3. 플래시 탱크의 구성 요소

  • 입구(Inlet): 고온·고압의 응축수 유입 경로
  • 탱크 본체(Tank Body): 증기와 액체를 분리하는 공간
  • 증기 배출구(Steam Outlet): 플래시 증기 배출 경로
  • 액체 배출구(Liquid Outlet): 저압 응축수 배출 경로
  • 압력 조절 장치(Pressure Control System): 시스템 안정성을 위한 압력 제어 장치
  • 레벨 센서(Level Sensor): 내부 수위를 감지하여 과잉 응축수 배출 방지

4. 플래시 탱크의 종류

(1) 수직형 플래시 탱크

  •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공간 활용성이 높고 증기 분리가 용이함
  • 유지보수가 상대적으로 간편함

(2) 수평형 플래시 탱크

  • 큰 용량을 처리할 수 있어 대형 플랜트에서 사용
  • 증기와 액체의 분리 시간이 길어 효율적임

(3) 다단 플래시 탱크

  • 여러 단계의 압력 강하를 통해 플래시 증기를 단계적으로 회수
  • 고효율 시스템에서 사용됨

5. 플래시 탱크의 장점

  • 에너지 절감: 플래시 증기를 활용하여 연료비 절감
  • 시스템 보호: 과도한 압력 증가로 인한 사고 예방
  • 환경 친화적: 에너지 재활용을 통해 탄소 배출 저감
  • 유지보수 용이: 비교적 단순한 구조로 유지보수가 쉬움

6. 플래시 탱크의 단점

  • 설치 공간 필요: 일정 크기의 공간이 필요하여 설계 시 고려해야 함
  • 설계 및 운영의 복잡성: 증기 회수 시스템과 연계하여 최적의 효율을 내야 함
  • 부식 가능성: 습기와 고온으로 인해 적절한 재질 선택이 필요함

7. 플래시 탱크의 적용 산업

  • 발전소: 보일러 및 터빈 시스템에서 응축수 재활용
  • 화학 플랜트: 고온 유체 처리 및 압력 조절
  • 식음료 산업: 증기 시스템에서 에너지 회수
  • 제지 및 섬유 산업: 스팀 공정에서 증기 절약

8. 플래시 탱크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사항

  • 유체의 온도 및 압력 조건
  • 응축수 유량 및 플래시 증기 발생량
  • 배관 시스템과의 호환성
  • 설치 공간 및 유지보수 편의성

9. 결론

플래시 탱크는 고온, 고압의 유체를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증기와 응축수를 분리하고,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핵심 장비입니다.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되며, 에너지 절감과 안전성 확보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적절한 설계와 운영을 통해 최대의 효율을 끌어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